iostat 는 디스크 io 를 체크할수 있는 툴 입니다.
여러 옵션이 있지만 제가 즐겨 쓰는 옵션만 소개하겠습니다.
(더 알고 싶으시면 man iostat 로…)
– x : 확장된 정보를 출력한다.
– h : 사람이 보기 편하도록 출력한다.
명령어 뒤에 디바이스 아이디 (디바이스명)을 입력하면 해당 디바이스 정보만 출력한다.
예) 디바이스 vda 의 확장된 정보를 3초에 한번씩 사람이 보기 좋게 출력한다.
[root@Cloudvine_RFC6 home]# iostat -xh vda 3
항목중에 중요한 항목만 정리를 하자면
– rrqm/s : 디바이스 큐에 쌓인 초당 요청 건수
– wrqm/s : 디바이스 큐에 쌓인 초당 쓰기 건수
– r/s : 디바이스에 요청한 초당 읽기 건수
– w/s : 디바이스에 요청한 초당 쓰기 건수
– await : 디바이스 큐에서 처리를 위해 데이타를 요청한 I/O 의 평균 시간
– svctm : 디바이스에서 처리한 평균 시간
– %util : 디바이스에서 요청한 I/O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평균 시간 (35미만 이면 좋음 65이상히면 점검요망 90이상이면 장애)
예) 디바이스 vda 의 정보를 3초에 한번씩 사람이 보기 좋게 출력한다.
[root@Cloudvine_RFC6 home]# iostat -h vda 3
항목중에 중요한 항목만 정리를 하자면
– tps : 디바이스에 초당 건수 요청 건수